버섯 지의류자원

메인화면으로 이동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> 버섯 지의류자원 > 지의류교실 > 지의류 구조와 생육형

지의류 구조와 생육형

지의류의 구조

지의체는 크게 피층(cortex), 수층(medulla), 조류층(algal layer)으로 이루어진다.

  • 피층 : 지의체 가장 바깥쪽으로, 곰팡이 균사(hyphae)의 융합체(상피층, 하피층)
  • 수층 : 균사가 헐겁게 종횡으로 엮여 만들어진 것으로 대개 흰색
  • 조류층 : 공생조류가 지의체 내부 균사조직에 의해 둘러싸인 층

지의류 공생 조류: 100여 종으로 녹조류(green algae)는 트레복시아속(Trebouxia), 오랑캐꽃말속(Trentepohlia)이, 남세균(cyanobacteria)으로는 구슬말속(Nostoc)이 많이 알려졌으며, 지의류 공생체로 광합성을 통해 합성한 탄수화물(탄소원)을 곰팡이에게 제공.

유사금태지의
  • 유사금태지의 이미지
  • 지의류의 구조(단면) 이미지[ 단면 구조 ]
송라
  • 송라 이미지
  • 지의류의 구조(단면) 이미지[ 단면 구조 ]

지의류의 생육형

지의류는 외형에 따라 크게 가상(고착)지의(crustose), 엽상지의(foliose), 수지상지의(fruticose)3가지로 나눈다.

  • 가상(고착)지의 : 지의체 아랫면 전체가 기물에 밀착되어 하피층이 없음
  • 엽상지의 : 지의체가 고등식물의 잎처럼 납작하고 기물에 수평으로 생장해 윗면과 아랫면이 확연히 구분됨
  • 수지상지의 : 지의체가 수직 또는 비스듬히 늘어져 나뭇가지처럼 생장함
가상(고착)지의
  • 가상(고착)지의 이미지 첫번째
  • 가상(고착)지의 이미지 두번째
엽상지의
  • 엽상지의 이미지 첫번째
  • 엽상지의 이미지 두번째
수지상지의
  • 수지상지의 이미지 첫번째
  • 수지상지의 이미지 두번째
related site
국가표준식물목록
국가표준곤충목록
국가표준버섯목록
국가표준지의류목록
정보이용신청 및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Sitemap Top으로 가기
[11186]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509 국립수목원, 분야별 안내전화, e-mail : nature@korea.kr
Copyright (c) 2001 by Korea National Arboretum. All rights reserved.
본 사이트의 식물, 곤충 표본정보 DB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국가 DB사업으로 구축되었습니다.
이 웹사이트의 모든 정보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므로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